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mongoDB
- Write Concern
- Jenkins
- 대용량 아키텍처와 성능 튜닝
- Code Presso
- 읽기 고려
- 위치 기반 쿼리
- Spring Framework
- AWS Developer
- Text Index
- 스프링 프레임워크
- JPA
- EC2
- NoSQL
- Amazon Web Service
- STS
- iam
- 스프링 부트
- AWS 자격증
- Spring
- Java
- 코드프레소
- java spring framework
- 스프링
- 조대협
- 쓰기 고려
- 자바
- spring boot
- aws
- 몽고디비
- Today
- Total
개발과 기록의 조화
[Spring Boot] 프로젝트 구조 본문
해당 게시물은 학습 및 기록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사실과 다른 내용이 있을 수 있으며, 오류가 있거나 궁금한 점은 댓글이나 dlaudtjr07@gmail.com 으로 메일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해당 게시물은 이전의 게시물과 이어집니다.
스프링 부트 프로젝트 파일 구조
프로젝트 생성이 완료되었다면 , 이번엔 스프링 부트의 기본 구조를 알아도록 합시다.
Spring MVC 프로젝트 구조와는 약간 다릅니다. 하나씩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.
src/main/java
Java 클래스 파일을 모아 둔 곳입니다.
src/main/resources
xml, properties를 저장하는 곳인데, static , templates , application.properties 파일 3개가 생성되어져 있습니다. static 파일은 css , js , html등의 파일을 저장하고 , templates 는 부트에서 이용하는 타임리프(thymeleaf) 형식 템플릿 파일(jsp 아님)을 저장합니다.
스프링 부트에서는 jsp 파일이 아닌 thymeleaf 템플릿 엔진 사용을 권장합니다. 물론 jsp를 이용할 수는 있지만, 따로 설정을 해 주어야 합니다. 참고하시길..
application.properties
파일은 스프링 부트 전체 프로젝트의 설정을 저장하는 곳입니다. 이 파일에 설정되어져 있는 정보를 최우선적으로 따릅니다. (자바 파일에 설정되어져 있어도 이 application.properties 파일에 다른 설정이 저장되어져 있으면 의미가 없습니다)
src/test/java
경로는 JUnit 등 테스트 케이스의 자바 클래스 파일들을 저장하는 곳입니다.
om.xml은 라이브러리 의존성 파일 경로를 저장하는 파일인 것은 다들 알 것입니다. 하지만 pom.xml 에 들어가 보면,
<?xml version="1.0" encoding="UTF-8"?>
<project xmlns="http://maven.apache.org/POM/4.0.0" xmlns:xsi="http://www.w3.org/2001/XMLSchema-instance"
xsi:schemaLocation="http://maven.apache.org/POM/4.0.0 https://maven.apache.org/xsd/maven-4.0.0.xsd">
<modelVersion>4.0.0</modelVersion>
<parent>
<groupId>org.springframework.boot</groupId>
<artifactId>spring-boot-starter-parent</artifactId>
<version>2.2.2.RELEASE</version>
<relativePath/> <!-- lookup parent from repository -->
</parent>
<groupId>com.ms</groupId>
<artifactId>bootpractice</artifactId>
<version>0.0.1-SNAPSHOT</version>
<name>bootpractice</name>
<description>Demo project for Spring Boot</description>
<properties>
<java.version>1.8</java.version>
</properties>
<dependencies>
<dependency>
<groupId>org.springframework.boot</groupId>
<artifactId>spring-boot-starter-web</artifactId>
</dependency>
<dependency>
<groupId>org.springframework.boot</groupId>
<artifactId>spring-boot-devtools</artifactId>
<scope>runtime</scope>
<optional>true</optional>
</dependency>
<dependency>
<groupId>org.projectlombok</groupId>
<artifactId>lombok</artifactId>
<optional>true</optional>
</dependency>
<dependency>
<groupId>org.springframework.boot</groupId>
<artifactId>spring-boot-starter-test</artifactId>
<scope>test</scope>
<exclusions>
<exclusion>
<groupId>org.junit.vintage</groupId>
<artifactId>junit-vintage-engine</artifactId>
</exclusion>
</exclusions>
</dependency>
</dependencies>
<build>
<plugins>
<plugin>
<groupId>org.springframework.boot</groupId>
<artifactId>spring-boot-maven-plugin</artifactId>
</plugin>
</plugins>
</build>
</project>
라이브러리 의존성 설정이 Lombok, DevTools를 포함해 4개만이 설정되어져 있습니다. 하지만 Maven Dependencies 에는 수십가지의 의존성이 설정되어져 있죠. pon.xml에서는 parent를 이용해 수많은 의존성 설정을 상속받을 수 있기 때문에 , 하단의 Dependency Hierarchy를 클릭하면, 1–2의 사진처럼 수많은 라이브러리 의존성 설정들이 상속되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스프링 부트 어플리케이션 실행 구조
스프링 부트는 MVC 프로젝트와 다르게 메인 클래스가 존재합니다. 기본적으로 프로젝트 이름 + Application 으로 메인 클래스 하나가 생성되어져 있습니다.
package com.ms.practice;
import org.springframework.boot.SpringApplication;
import org.springframework.boot.autoconfigure.SpringBootApplication;
@SpringBootApplication
public class BootpracticeApplicatio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pringApplication.run(BootpracticeApplication.class, args);
}
}
기본적으로 생성된 클래스는 기본 설정이 서버를 통한 실행으로 설정되어져 있는데 , 의존성 설정에 들어 있는 내장 톰캣을 이용해 실행합니다.
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Run on Server 가아닌 Spring Boot App을 이용해 실행한다. 실행하면 콘솔 창에 약간 낯설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.
(스프링 실행 로고 중 역슬래시가 한글 설정이 되어져 있어서 \로 출력됩니다...)
스프링 부트가 내장 톰캣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이 상태에서 앱을 한 번 더 실행하면 충돌이 납니다. 당연하게도 포트 설정이 8080으로 고정되어져 있기 때문인데,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바 어플리케이션으로 실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 우선은 메인 메소드 안에서 이를 해결해 보도록 합시다.
package com.ms.practice;
import org.springframework.boot.SpringApplication;
import org.springframework.boot.WebApplicationType;
import org.springframework.boot.autoconfigure.SpringBootApplication;
@SpringBootApplication
public class BootpracticeApplicatio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기본 설정
//SpringApplication.run(BootpracticeApplication.class, args);
//자바 어플리케이션 실행 설정
SpringApplication application = new SpringApplication(BootpracticeApplication.class);
application.setWebApplicationType(WebApplicationType.NONE);
application.run(args);
}
}
application을 SpringApplication의 새로운 객체로 생성하는 방식으로 바꾸고, WebApplicationType메소드를 추가했습니다. enum속성은 WebApplicationType 이며, 값은 NONE을 호출합니다.
NONE으로 설정한다면 , 위에서 말했듯이 내장 톰캣이 아닌 일반 자바 어플리케이션으로 실행하게 됩니다.(서버 설정은 SERVLET, 스프링 5.0부터 지원하는 웹플럭스를 적용시킬 땐 REACTIVE로 설정합니다)
이처럼 내장 톰캣이 아닌 일반 어플리케이션으로 실행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하지만 위에 자바 코드로 설정하는 방법보다, 위쪽에서 언급한 application.properties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
우선 메인 소스를 1–2–2의 코드로 바꾸고 application.properties 파일을 설정해 보도록 합시다.
spring.main.web-application-type=none
스프링 부트의 application.properties는 자동완성 기능을 지원합니다. 잘 써먹도록 합시다.(ctrl + space)
spring.main 프로퍼티 부분의 web-application-type 을 설정하고 값을 none으로 설정하면, 위에 자바 객체를 생성하고 메소드를 호출하는 방법이 아닌, 단 1줄로도 설정이 가능해집니다.
맨 처음에 언급했지만, application.properties 파일은 어떤 자바 클래스에 어떤 속성이 설정되어져 있어 도,application.properties에 해당 속성이 설정되어져 있으면 프로퍼티 파일의 속성이 최우선적으로 설정됩니다.
웹 서버를 이용할 경우에도 포트 설정이 간단합니다.
spring.main.web-application-type=servlet
server.port=8000
server.port로 설정해주면 끝입니다. 물론 web-application-type은 servlet으로 설정해 주어야 톰캣으로 실행됩니다. 8080이 아닌 다른 포트로도 가능하며 , 0으로 설정한다면 사용하지 않는 포트가 자동으로 랜덤하게 설정됩니다.
application.properties의 정보들은 (해당속성)Properties 객체에 setter메소드로 주입된다. 실제 코드는 ctrl을 누르고 해당 프로퍼티 속성을 눌러보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//Import 생략
@ConfigurationProperties(prefix = "server", ignoreUnknownFields = true)
public class ServerProperties {
//세부내용 생략
/**
* Server HTTP port.
*/
private Integer port;
/**
* Network address to which the server should bind.
*/
private InetAddress address;
public Integer getPort() {
return this.port;
}
public void setPort(Integer port) {
this.port = port;
}
public InetAddress getAddress() {
return this.address;
}
public void setAddress(InetAddress address) {
this.address = address;
}
//세부내용 생략
}
해당 글은 코드프레소 DevOps Roasting 코스를 수강하면서 작성한 글입니다.
'Web Framework > Java Spring Frame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 Boot] JPA 연동 - JPA 기본 설정 (0) | 2020.02.02 |
---|---|
[Spring Boot] JPA 연동 - 개념 이해하기 (0) | 2020.02.02 |
[Spring Boot] 아주 간단한 웹 애플리케이션 예제 작성 (0) | 2020.02.01 |
[Spring Boot] Lombok 개념 및 설치 (0) | 2020.02.01 |
[Spring Boot] 프로젝트 만들기 (0) | 2020.02.01 |